2025년 주식용어 완벽 정리!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2025년 주식용어 완벽 정리! 초보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면 기본적인 주식용어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2025년 최신 주식 시장 트렌드에 맞춰 초보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을 정리했습니다. 이번 가이드를 통해 주식 시장의 기본 개념부터 해외주식과 ETF 관련 용어까지 한눈에 알아보세요.



1. 주식 시장의 기본 용어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하는 투자자라면 기본적인 주식 시장 용어부터 익혀야 합니다. 주식 거래에서 자주 사용되는 필수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① 매수(Buy)와 매도(Sell)

주식을 사는 것을 '매수', 파는 것을 '매도'라고 합니다. 매수와 매도의 타이밍이 투자 수익률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② 호가(Bid/Ask)

주식을 사고파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매수호가는 투자자가 사고 싶어 하는 가격이고, 매도호가는 팔고 싶어 하는 가격입니다.


③ 시가, 종가, 고가, 저가

  • 시가(Open Price): 장이 시작될 때의 가격
  • 종가(Close Price): 장이 끝날 때의 가격
  • 고가(High Price): 하루 중 가장 높았던 가격
  • 저가(Low Price): 하루 중 가장 낮았던 가격

④ 거래량(Volume)

특정 종목이 하루 동안 얼마나 거래되었는지를 나타냅니다. 거래량이 많을수록 시장에서 해당 주식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⑤ PER(주가수익비율) & PBR(주가순자산비율)

  •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PBR(Price to Book Ratio):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값으로, 1보다 낮으면 자산가치 대비 저평가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⑥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주식의 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비율로, 배당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입니다.



2. 해외주식 및 ETF 관련 용어

해외 주식과 ETF(상장지수펀드) 투자를 고려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도 익혀야 합니다.


① ETF(Exchange Traded Fund)

특정 지수, 산업, 원자재 등에 투자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장지수펀드입니다.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사고팔 수 있습니다.


② 인덱스펀드(Index Fund)

S&P500, 나스닥100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입니다.


③ NAV(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

ETF의 실제 자산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④ ADR(American Depositary Receipt, 미국 예탁증서)

미국 증시에 상장된 해외 기업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는 한국 기업이지만 ADR 형태로 미국 증시에서 거래됩니다.


⑤ QQQ, SPY, VOO

  • QQQ: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 SPY: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 VOO: 뱅가드(Vanguard)에서 운영하는 S&P500 추종 ETF

⑥ 환헤지(Hedging)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을 막기 위해 환율 리스크를 줄이는 전략입니다.



⑦ 배당성장 ETF

꾸준히 배당을 증가시키는 기업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예) VIG, SCHD



3. 국내 상장 해외주식 ETF 관련 용어

국내에서도 해외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ETF가 상장되어 있습니다. 국내 상장 해외주식 ETF 관련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① KODEX, TIGER, KBSTAR

국내에서 운영되는 주요 ETF 브랜드입니다.

  • KODEX: 삼성자산운용
  • TIGER: 미래에셋자산운용
  • KBSTAR: KB자산운용

② 해외지수 추종 ETF

  • KODEX 미국 S&P500TR: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
  • TIGER 나스닥100: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ETF
  • KBSTAR 유로스탁스50: 유럽 대표 지수인 유로스탁스50을 추종하는 ETF

③ 환노출형 vs 환헤지형

  • 환노출형: 환율 변동에 따라 ETF 가격이 영향을 받음
  • 환헤지형: 환율 변동 위험을 줄이는 상품

④ 레버리지 & 인버스 ETF

  • 레버리지 ETF: 특정 지수의 2배 상승률을 추종 (예: KODEX 레버리지)
  • 인버스 ETF: 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ETF (예: KODEX 인버스)

결론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면 기본적인 주식용어부터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내 주식뿐만 아니라 해외주식, ETF에 대한 용어도 익혀야 글로벌 시장에서 더 넓은 투자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번 가이드를 통해 주식 시장의 개념을 확실히 익히고, 본인의 투자 전략에 맞는 주식과 ETF를 선택해보세요!



댓글 쓰기

0 댓글

신고하기

프로필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이미지alt태그 입력